본문 바로가기

SpringMVC

(12)
[인프런 강의 복습]스프링 MVC 1편 - 프론트 컨트롤러 패턴 ■ 프론트 컨트롤러 1) 프론트 컨트롤러 도입 전 - 프론트 컨트롤러의 도입 전에는 공통의 기능이 중복으로 호출이 되었으며 각각의 컨트롤러(서블릿을 사용)는 요청 url에 따라 호출되었다. 2) 프론트 컨트롤러 도입 후 - 프론트 컨트롤러 서블릿 하나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음 - 프론트 컨트롤러가 요청에 맞는 컨트롤러를 찾아서 호출 - 프론트 컨트롤러에서 공통의 기능을 처리, 컨트롤러는 서블릿을 사용 X [참고] - 스프링 웹 MVC의 핵심도 바로 FrontController - 스프링 웹 MVC의 DispatcherServlet이 FrontController 패턴으로 구현되어 있다. ■ 프론터 컨트롤러 구현 -v1 - 컨트롤러 인터페이스를 도입, 각 컨트롤러는 이 인터페이스를 구현 - 프론트 컨트롤러..
[인프런 강의 복습]스프링 MVC 1편 - [회원 관리 APP] MVC 이용 ■ MVC 패턴 MVC 패턴이란 하나의 서블릿이나 JSP로 처리하던 것을 컨트롤러(Controller)와 뷰(View)라는 영역으로 서루 나눈 것을 말한다. 1. 컨트롤러(Controller) - HTTP 요청을 받아서 파라미터를 검증하고 비즈니스 로직을 실행 - 조회 결과 데이터를 모델에 담는다. 2. 모델(Model) - 뷰에 출력할 데이터를 담아둔다. - 뷰가 필요한 데이터를 모두 모델에 담아서 전달해주는 덕분에 뷰는 비즈니스 로직이나 데이터 접근에 관심을 갖지 않아도 된다. - 뷰를 렌더링하는 일에만 집중할 수 있다. 3. 뷰(View) - 모델에 담겨 있는 데이터를 사용해서 화면을 그린다. - HTML을 생성하는 부분 [참고] - 컨트롤러에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부분을 두게 되면 컨트롤러가 ..
[인프런 강의 복습]스프링 MVC 1편 - [회원 관리 APP] JSP 이용 ■ 회원 등록 Form JSP - JSP는 서버 내부에서 서블릿으로 변환되는데, 앞 전에 생성했던 MemberFormServlet 클래스와 거의 비슷한 모습으로 변환 username: age: 전송 ■ 회원 저장 JSP - JSP는 자바 코드를 그대로 다 사용 할 수 있다. - : 이 부분에 자바 코드를 입력 - : 이 부분에 자바 코드를 출력 - HTML을 중심으로 하고, 자바 코드를 를 사용해서 부분부분 입력해주었다. 성공 id= username= age= 메인 ■ 회원 목록 조회 JSP 메인 id username age ■ 서블릿과 JSP의 한계 - 서블릿으로 개발을 할때는 뷰(View)화면을 위한 HTML을 만드는 작업이 자바 코드에 섞여서 지저분하고 복잡 - JSP를 사용한 덕분에 뷰를 생서하는..
[인프런 강의 복습]스프링 MVC 1편 - 서블릿 ■ 서블릿 @ServletComponentScan - 스프링 부트는 서블릿을 직접 등록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@ServletComponentScan 어노테이션을 지원 @WebServlet - 서블릿 어노테이션 - name : 서블릿 이름 - urlPatterns : URL 매핑 [서블릿 컨테이너 동작 방식] - 스프링 부트에서 내장 톰켓 서버를 지원 - 톰캣(웹 애플리케이션 서버)은 서블릿 코드를 클래스 파일로 빌드해서 올린다. - 톰캣 서버를 실행하고 HTTP 요청 메시지를 날리게 되면 request, response 객체를 생성해서 서블릿으로 전달 - 서블릿은 service() 메서드 호출을 통해 비지니스 로직을 수행 후 - 응답 결과를 response 객체를 통해 웹 브라우저로 보내게 된다. ■ 서..